 |
 |
 |
2008 대한민국 공공디자인엑스포 |
2008 Public Design Expo |
 |
 |
2008. 10. 28(화) ~ 11.1(토) | |
 |

|
COEX_대서양홀 |
 |
 |
문화체육관광부, 대한민국 공공디자인엑스포 조직위원회 |
 |
 |
디자인코리아 국회포럼, ㈜코엑스 |
 |
 |
(사)한국공공디자인협회, (사)한국조명디자이너협회, (사)한국디자인단체총연합회, (사)한국공간디자인단체총연합회 |
 |
 |
주제관 |
‘Nordic Block’ 북유럽 디자인 철학이 담긴 공간 |
핀란드를 비롯한 북유럽 디자인 철학과 사회,문화가 반영된 디자인 사례를 통해 공공디자인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경험하는 장소가 된다. Finland Pavilion Children’s Play Meetings place Cafe Bar Nordic |
|
공공관 |
-중앙부처의 관련 정책에 의해 시행되고 있거나 시행된 공공 시설 개선 사례 홍보 및 향후 계획을 제시 |
-개선사례를 제시하여 정부부처 및 관련업계에 다양한 정보 및 참조사례를 제공 |
-일반 시민에게 공공디자인에 관한 교육의 장을 제공하여 의식을 고취시키고 참여를 위한 공감대 형성 |
-중앙행정부처, 광역/기초자치단체,공공기관(공공디자인 개선사업 소개), 관련 공공디자인정책 |
|
일반기업 및 지자체관 |
-공공디자인 개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에게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정보 제공 |
-기업의 비즈니스를 연계를 위해 공공기관/중앙부처와의 거래활성화를 위한 서비스 제공하고, 업계를 리드하는 기업 위주의 참가유치를 통해 공공디자인 및 시설의 우수 사례를 선보여 전시회 출품 및 참가 내용의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유도 |
-공공건축/시설물 공공디자인 사회기반시설 공공디자인 |
-교통시설물 공공디자인 도시경관 디자인 사인/서식 공공디자인 |
|
 |
|
|
|
도시환경디자인 |
옥외공간 |
공원, 운동장, 묘지, 공공기관 부속용지, 광장, 놀이터, 집회시설, 보도, 쌈지공원(pocket park), 주차장 |
행정공간 |
공공안내소, 마을회관, 파출소, 소방서, 우체국, 전화국, 동사무소, 군사공간, 교도소,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청사,, 정부 행정부처 건물, 외국공관 건축물 |
문화/복지공간 |
시민회관, 문화재, 체육관, 경기장, 공연장, 국공립 복지시설, 국공립 의료시설, 보육원, 기념관, 박물관, 미술관, 휴게소 |
역사시설공간 |
여객자동차터미널, 화물터미널, 철도역사, 지하철역, 공항, 항만, 고속도로 휴게실 |
교육/연구공간 |
국공립 초, 중, 고등학교, 대학교, 유아원, 교육원, 훈련원, 연구소, 도서관, 연수원 |
공공시설디자인 |
교통시설 |
보행 신호등, 휀스(Fence), 볼라드(bollard), 가드레일(guardrail), 가로표식, 에스컬레이터, 정류장, 자전거 정차대, 육교, 지하도, 신호등, 교통차단물, 속도억제물, 주차시설, 주차요금징수기 (parking meter), 공공기관 소유 차량 |
편의시설 |
벤치,의자, 쉘터(shelter), 옥외용 테이블, 휴지통, 음수대, 재떨이, 화장실, 세면장 ,매점,, 무인 키오스크(kiosk), 자동판매기, 신문가판대 |
공급시설 |
하수처리장, 관개/배수시설, 상하수도시설, 맨홀, 전신주, 보행등, 신호개폐기,, 전력구, 분전반, 환기구, 우체통, 소화전, 방재시설, 범죄예방장치, 신원확인장치,, 공중전화, 풍향계, 시계, 온습도계, 인포부스(info booth), 관광안내시설, 지역 안내도, 교통정보판, 무인 민원처리기 |
공공용품디자인 |
각종 집기와 도구, 제복, 가구, 문구, 표찰, |
공공정보디자인 |
지시/유도 |
이정표, 교통표지판, 지역/관광 안내도, 버스노선도, 지하철노선도, 방향유도사인, 규제사인, 자동차 번호판, 각종 픽토그램 심호체계 |
광고홍보 |
광고판, 현수막, 포스터, 게시판, 간판, 배너(banner), 기(flag), 홍보영상, 전광판 |
상징 |
국가상징사인, 행정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의 상징사인, 국가기관 상징사인, |
행정 |
각종 증명서, 공문서 서식, 각종 출판물 표지, 각 기관 웹 페이지 등과 같은 시각매체의 디자인 화폐, 여권, 교통카드, 채권, 기념주화, 우표 |
공공환경매체디자인 |
오감 연출 매체, 야간 조명 계획, 음향 연출 계획 (소리, 빛, 냄세 같은 무형의 공공환경 매체) |
공공디자인정책 |
행정 및 정책 |
문화진흥정책, 산업정책, 보건복지정책, 환경/자원정책,, 기술정책, 문화행정, 지역개발, 관광자원개발, 이벤트 산업, 국민건강진흥, 스포츠복지, 예술정책 등 공공디자인을 진흥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 |
관련법규 |
경관법, 도로교통법, 건축법, 의장법, 산업디자인 관련법, 산업재산권법, 보건복지법, 문화재보호법, 교통안전법, 행정법 등과 같은 공공디자인을 진흥할 수 있는 법의 연구 | | | |  |